11. 삿뜨바적인 숭배는 강한 의무감 때문에 아무런 개인적 바람이 없이, 경전의 정신에 맞추어져 있다. 12. 오, 바라따 중 최고인 자여! 개인적인 결과를 노린 과시적인 숭배는 라자스적이다. 13. 경전의 규정에 맞지 않고, 음식도 나누지 않고, 만뜨라, 믿음, 선물이 없는 숭배는 따마스적이다. 14. 신, 브람민, 구루와 현자를 깨끗함, 정직, 자제 그리고 폭력이 없는 방법으로 숭배하는 것, 이것은 신체의 고행이다. 15. 진실하고, 즐겁고, 유익한 언어를 사용하는 것 그리고 경전을 규칙적으로 공부하는 것, 이것은 말의 고행(수련)이다. 16. 마음의 평화, 친절, 침묵, 자기 통제, 동기의 순수, 이것은 마음의 고행이다. 17. 이 세 가지 유형 (생각, 말, 행위)의 고행(자기 수련)이 보상을 바라지 않고 균형된 마음의 사람에 의해 믿음으로 행해질 때, 현자는 이 수련을 삿뜨바적이라 부른다. 18. 존경과 명예와 숭배를 받기 위해, 그리고 위선으로 행해지는 고행은 라자스적이다. 그것은 불안정하며 소멸하기 쉬운 결과를 낳는다. 19. 자기 자신의 몸을 고문이나,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기 위한 목적으로 어리석게 행해지는 고행은 따마스적이다. 20. 강한 의무감으로 적절한 장소와 때에 보답을 바라지 않고 받을 가치가 있는 사람에게 주어진 선물은 삿뜨바적이다.